IT 개인학습/Python
콘다(conda), git 실행 순서
그때 그때 끄적
2023. 1. 11. 10:13
반응형
<git bash>
- git bash 실행
- conda deactivate (가상환경이 실행되고 있는지 먼저 확인해야한다. 만약 실행되고 있다면 나와준다.)
- conda create -n project1 python=3.8 (가상환경 만들기)
- conda env list (가상환경 리스트 확인)
- conda activate project1 (가상환경 실행하기)
- git clone (깃 레파지토리 클론해주기)
- cd project (디렉토리 들어가기)
- 패키지 설치하기 ex) pip install falsk , python -m pip install -r requirements.txt 등
- code . (vs code로 이동)
모든 라이브러리 패키지 install할 때,
pip install requirements.txt
## requirements.txt 작성법
pandas==[원하는버전]
tensorflow
.
..
...
모든 라이브러리 패키지 제거할 때,
## 모든 라이브러리 저장
pip freeze > [파일명].txt
## 하나씩 제거
pip uninstall -r [파일명].txt
## 한번에 제거
pip uninstall -r [파일명].txt -y
<vs code>
- source deactivate
- conda deactivate (마찬가지로 먼저 모든 가상환경 나오기)
- conda activate project1
- 과제 혹은 프로젝트 실행하기
- 과제 시 python -m pytest (./tests/Part_1) 로 채점 후 python -m pytest --submit 로 과제 제출
- git add -A (활동 저장)
- git commit -m "Project 완성" (깃헙으로 커밋날리기, add와 커밋은 중간중간 저장할 때 아무때나 날려도 됨.)
- git push origin main(혹은 다른브런치) (브런치에 push하기)
- github 레파지토리 들어가 확인하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