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동화 도구인 n8n을 쓰다 보면, 자주 마주치는 개념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웹훅(Webhook)"이에요.
그런데 가만 보면, 어떤 작업은 그냥 노드만 연결해서 되는데…
굳이 웹훅이라는 걸 써야 할 때도 있더라고요. 왜일까요?
1. 웹훅이란?
웹훅은 쉽게 말해서 "인터넷 상의 자동 알림 장치"입니다.
어떤 시스템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 특정 URL(즉, n8n의 웹훅 노드)에 데이터를 자동으로 보내주는 방식이에요.
예를 들어:
- 누군가 슬랙에 메시지를 남기거나
- 구글폼을 제출하거나
- 결제가 완료되거나
→ 이런 순간에 웹훅이 발동합니다.
2. 그런데 이런 생각이 들 수 있어요
"n8n에서는 그냥 다음 노드를 설정하면 되잖아?
굳이 웹훅이란 걸 써야 해?"
3. n8n 안에서 시작될 일이면 웹훅 필요 없습니다
예를 들어:
- 매일 아침 9시에 뉴스 정리 메일 보내기 → Cron 노드로 시작
- 수동으로 실행해서 데이터 업데이트 → 버튼 클릭만으로 가능
→ 이런 건 n8n이 혼자서 알아서 시작할 수 있으니까 웹훅이 필요 없어요.
3-1. 그런데 “외부에서 뭔가 생겨서 시작돼야 할 때”는?
그럴 땐 웹훅이 필요해요.
예를 들어:
- 슬랙에 누가 메시지 쓰면 → n8n이 자동 응답
- Notion에 문서가 생기면 → 요약해서 DB에 저장
- 외부 사이트에서 설문 응답하면 → 자동 보고서 생성
→ 이럴 땐 외부 시스템이 n8n에게 “지금 일어나고 있어!” 하고 알려줘야 하죠.
그때 사용하는 게 바로 웹훅입니다.
👏한눈에 정리
상황 | 웹훅 | 이유 |
n8n 내부에서 주기 실행, 수동 실행 | ❌ | 스스로 시작 가능 |
외부에서 무언가 생겨야 시작 | ✅ | 외부에서 깨워줘야 함 |
4. n8n 웹훅 사용 흐름 예시
[Webhook Node] → [OpenAI Node] → [Notion Node]
- 외부에서 질문이 들어오면 (ex: 폼 응답)
- Webhook Node가 감지
- GPT가 응답 생성
- Notion에 정리해서 저장
<Webhook 사용기>
https://cord-ai.tistory.com/193
n8n에서 Webhook 사용하기, Docker + Ngrok
https://cord-ai.tistory.com/191 n8n에서 웹훅(Webhook)이 필요한 이유는 뭘까?자동화 도구인 n8n을 쓰다 보면, 자주 마주치는 개념이 하나 있습니다.바로 "웹훅(Webhook)"이에요.그런데 가만 보면, 어떤 작업은
cord-ai.tistory.com
728x90
'n8n, Automation To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n8n, Google Credential 연동하기 (0) | 2025.05.12 |
---|---|
n8n + OpenAI Chat Model 연동 시 발생한 오류 해결기 (1) | 2025.05.09 |
n8n에서 Webhook 사용하기, Docker + Ngrok (0) | 2025.05.09 |
n8n Self Hosting with Docker (Window) (0) | 2025.05.08 |
업무를 AI처럼 자동화하는 도구, n8n이란? (1) | 2025.05.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