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utomation Tool/n8n Project

Sense Stock, D+6 - 구조화된 질문이 필요한 이유

by 그때 그때 끄적 2025. 6. 12.

📅 Sense Stock 개발 일지 (2025-06-12)

n8n 기반 뉴스 요약 자동화 시스템 Sense Stock 구축 중 진행한 작업들을 정리합니다.

오늘은 구조화된 UI를 통해, AI의 출력 품질을 어떻게 높일 수 있을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계해봤습니다.

 

 

AI가 어떤 의도로 그렇게 말했는지 되묻고 싶을 때가 많았다.

그때 깨달았다. 문제는 AI가 아니라, 우리가 AI에게 ‘어떻게’ 말하느냐에 있다는 걸.
“좋은 입력이 좋은 출력을 만든다.”

 

Step 1. 구조화된 질문이 필요했던 이유

내가 고민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현재 구성한 워크플로우는 본질적으로 "실시간 뉴스 흐름 요약 + 시장 해석 도우미" 역할
즉, 즉각성과 가독성, 그리고 시장의 맥을 짚는 분석력이 핵심
그런데 궁극적인 목표는 투자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목적성 없는 요약 플랫폼"을
넘어서는 작은 맥락 보완이 필요 = 투자 방향성을 제시하기에는 어려움
사용자 입력
→ 동적으로 AI가 추가 질문을 생성하거나
→ 혹은 미리 설계된 형식화된 질문 중 선택하게 유도
→ 선택에 따라 AI는 더 신뢰도 높은 답변을 생성
👤 사용자: "삼성전자 요즘 주가 왜 오르죠?"

🤖 AI 질문 흐름:
1. 어떤 정보가 궁금하신가요?
→ 사용자의 정보 니즈를 명확히 구체화하는 단계입니다.
'''
예시 질문:

지금 가격 동향이 궁금한가요, 아니면 이슈나 뉴스 흐름이 궁금한가요?

투자 관점인가요, 아니면 단순 정보 파악용인가요?

기술적 분석이 필요하신가요, 아니면 기업의 사업 현황을 보고 싶으신가요?
'''
   - 📈 가격 추이 분석
   - 📰 뉴스/이슈 요약
   - 💡 AI 요약 및 전망

2. 어느 정도 깊이로 알고 싶으신가요?
→ 응답 분량/깊이 조절을 위한 질문입니다.
   - 요약본만
   - 뉴스 + 해석 포함
   - 핵심 키워드 중심

3. 참고하신 자료가 있으신가요?
→ 관련 링크나 PDF 등 사용자 보유 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질문입니다.
   - URL 또는 PDF를 첨부해 주세요

 

 

단순하지만 강력한 이 구조를 떠올리게 된 데는 이유가 있다.

"기본적으로 AI가 제대로 추측하기를 바라는 것에서,
AI를 올바른 답변으로 이끄는 것으로 역학을 바꿉니다."

 

그렇다. 많은 경우 우리는 AI가 똑똑하니까 알아서 이해하겠지라고 기대한다.
하지만 사실은, AI에게 문제를 푸는 방식까지도 안내해줘야 한다.

 

Step 2. User Interface는 ‘질문을 설계하는 힘’이다

사람들은 정말 다양하게 질문한다.
같은 내용을 묻더라도 어떤 사람은 1줄 요약, 어떤 사람은 에세이처럼 설명한다.
이건 AI 입장에선 꽤 난감한 일이다.
그래서 나는 텍스트 입력 대신, 구조화된 User Interface 요소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 드롭다운: “궁금한 분야는?” → 주식 / 부동산 / 환율
  • 체크박스: “답변에서 어떤 형식이 좋으세요?” → 요약 / 차트 / 최근 뉴스
  • 텍스트 필드: “추가로 꼭 포함했으면 하는 정보가 있다면?”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정보를 선택하며 스스로 ‘질문을 정제’하게 된다.
그 과정 자체가 입력 품질을 높인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AI의 출력은 더 명확하고 유의미해진다.

더보기

왜 구조화된 UI가 중요한가?

  • 인간의 질문 방식은 매우 다양하다:
    어떤 사람은 아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어떤 사람은 키워드 몇 개만 던지거나 모호하게 표현한다.
  • 일관성 없는 입력이 문제를 만든다:
    AI는 산발적이고 불규칙한 입력을 처리해야 한다.
    입력이 불분명하면 출력도 불분명해진다.
  • 결국 쓸모없는 답변이 나온다:
    정보가 불완전하거나 관련 없는 경우가 생기고,
    너무 일반적이어서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않는다.
    AI는 추측 모드로 들어가게 된다.

 

구조화된 UI가 하는 일

  • 사용자의 입력을 필터링하고 정제하여 AI가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전달
  • 정보 전달을 위한 가이드 역할
  • AI 자체가 더 똑똑해지기보다는, UI를 통해 똑똑하게 작동하게 만드는 것
더보기

구조화된 UI의 주요 이점

  • 정확성 & 관련성 향상
    질문이 명확하면 답변도 명확해진다.
  • 입력의 일관성
    같은 구조로 입력하면 출력도 유사해져서 랜덤성이 줄어든다.
  • 사용자 제어감 & 효율성 증가
    옵션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는 스스로 제어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정보 탐색이 더 빠르고 효율적이다.
  • 기업 측면의 장점
    AI가 질문을 더 잘 이해하니, 반복되는 질문이 줄고 처리 속도가 빨라진다.
  • AI 신뢰도 향상
    구조화된 UI는 AI가 더 유능하고 믿을 수 있는 존재처럼 느껴지게 한다.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과의 시너지
    시스템 프롬프트와 결합되면,
    AI에게 여러 각도에서 명확한 신호를 줄 수 있어
    더 스마트하고 목표 지향적인 결과로 이어진다

Step 3. 사용자는 제어권을 느끼고, 시스템은 신뢰를 얻는다

이와 같은 구조는 "사용자가 훨씬 더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 어떤 버튼을 누르면 무슨 일이 벌어질지 예측할 수 있고,
  • 선택한 옵션이 실제로 답변에 반영된다는 걸 체감하고,
  • 무엇보다도 스스로 이 시스템을 ‘조작’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

이건 결국 효율성과 신뢰의 문제로 이어진다.

“사용자가 느끼는 혼란과 좌절을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입력의 모호함을 없애주는 것”이다.

 

Step 4. 마치 쇼핑처럼, 질문도 필터링이 중요하다

이걸 온라인 쇼핑에 비유하면 쉽다.
“예쁜 신발”이라고 검색할 수도 있지만, 보통은 사이즈 / 색상 / 브랜드 / 굽 높이 등 다양한 필터를 사용해서 원하는 제품을 좁혀 나간다.

AI에게 질문할 때도 마찬가지다.
자유 텍스트만으로 묻는 것보단, 필터를 제공하고 그 안에서 선택하게 하면 훨씬 더 명확한 질문을 전달할 수 있다.

 

Step 5. 설계 How? 

Slack Block Kit으로 구현 가능성

Slack의 Block Kit은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더 풍부하고 인터랙티브하게 구성할 수 있는 도구다.
이 구조화된 UI 설계를 실제로 구현하는 데 가장 적합한 툴 중 하나다.

  • 📂 PDF 업로드: Slack Files API + n8n으로 다운로드 & 저장
  • 🔍 URL 분석: n8n + Firecrawl로 요약하거나 GPT에 전달
  • 🤖 사용자 입력값: AI Agent (OpenAI, Ollama 등)에 프롬프트 형태로 전달
더보기

설계의 중요성에 대한 생각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집중하는 것,
심지어 자유 텍스트 대신 구조화된 명령 같은
단순한 변화만으로도 AI가 더 잘 작동하게 만들 수 있다."

  • UI는 보기 좋게 만드는 게 목적이 아니다.
    정보를 잘 전달하고, 상호작용을 설계하는 것 자체가 핵심이다.
  • 더 나은 입력은 더 나은 출력으로 이어진다.
    AI가 추측하게 두지 말고,
    정확하게 이끌어가는 방식으로 설계해야 한다.
  • AI의 지능과 유용성은 우리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때로는 그것이 모델 자체보다 더 중요할 수도 있다.

https://cord-ai.tistory.com/225

 

n8n, Slack Block Kit

📌 Slack Block Kit이란?Slack Block Kit은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더 풍부하고 인터랙티브하게 구성할 수 있게 해주는 Slack의 UI 구성 도구입니다.텍스트, 버튼, 드롭다운, 이미지 등 다양한 구성 요소를 JS

cord-ai.tistory.com

 

❓ 다음 단계에서 고민 중인 것들

단순히 드롭다운이나 체크박스를 넣는 게 아니라,
사용자 입력 → 선택지 제공 → 그에 따른 응답 정확도 향상
이라는 전체 흐름을 사용자 경험 관점에서 어떻게 풀어낼지 고민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져보며 정리해봤다:

  • 동적으로 질문을 생성할지, 아니면 미리 설계된 질문 세트를 제공할지?
  • 질문 선택이 결과 품질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 사용자가 스스로 제어하고 있다고 느끼게 하려면 어떤 UI가 필요한가?

'Automation Tool > n8n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nse Stock, D+8  (0) 2025.06.19
Sense Stock, D+7  (0) 2025.06.18
Sense Stock, D+5  (4) 2025.06.06
Sense Stock, D+4  (4) 2025.06.04
Sense Stock, D+3  (1) 2025.06.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