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nse Stock 개발 일지 (2025-09-09)
n8n, 사용자 질의 기반 경제/시장/주식 분석 자동화 파이프라인 구축 중 진행한 작업들을 정리합니다.
오늘은 데이터 처리 효율화(1)와 콘텐츠 생성 자동화(2)라는 두 가지 큰 주제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민하고 작업한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데이터 처리 효율화 작업 (1)
https://cord-ai.tistory.com/257
Sense Stock, D+27 (1)
📅 Sense Stock 개발 일지 (2025-09-09)n8n, 사용자 질의 기반 경제/시장/주식 분석 자동화 파이프라인 구축 중 진행한 작업들을 정리합니다.오늘은 데이터 처리 효율화와 콘텐츠 생성 자동화라는 두 가
cord-ai.tistory.com
해당 글에 이어서 콘텐츠 생성 자동화 작업(2) 정리 내용입니다.
이전에 현재 사용자 질문을 통한 리포트 생성이라는 이 프로세스에 대해 고민한 적이 있다.
https://cord-ai.tistory.com/252(현재의 고민과 새로운 방향 모색 🤔 중 ...)
'내가 만들고 있는 이게 과연 특별한가?'
솔직히 말해, 최신 뉴스 요약이나 기업 분석 같은 기능은 이미 시장에 널리고 널렸다. 더 큰 문제는 비용이다. 이 비싼 운영비를 감당하면서 이미 흔한 기능을 제공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나 싶다. 이대로 가다가는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다.
그래서 방향을 완전히 틀어볼까 한다. '분석 툴'이 아니라 '콘텐츠 채널' 로의 전환이다.
전략의 핵심은 숏폼(피드). 남들이 다 하는 딱딱한 분석 정보 대신,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콘텐츠' 로 재가공해서 '부담 없이 소비할 수 있는 채널' 을 만들고 싶다. 목표는 더 이상 '정확한 분석'이 아니다.
'흥미를 유발하는 데이터 큐레이션' 이다. 사람들이 "오, 이건 재밌는데?" 하고 가볍게 넘겨볼 수 있는 그런 콘텐츠 말이다. 이게 이 비싼 기술을 가지고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이 아닐까 싶다.
그래서 방향을 완전히 틀어볼까 한다. '분석 툴'이 아니라 '콘텐츠 채널' 로의 전환이다.
🧱 Workflow
이 전략을 실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쳤다.
- 페르소나 확립
채널의 정체성을 '섹터 심층 분석가'로 명확히 했다. 이제 우리는 특정 산업 분야의 전문가로서 콘텐츠를 발행한다. - 콘텐츠 시스템 구축
페르소나가 매일 꾸준히 일할 수 있도록 '요일별 테마' 시스템을 도입했다. 월요일은 빅테크, 화요일은 AI 반도체처럼, 매일 정해진 주제로 깊이 있는 콘텐츠를 다룬다. - 사용자 경험 개선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대신, Slack Block Kit을 활용해 그날의 테마에 맞는 5가지 질문을 버튼으로 제안했다. 사용자가 직접 흥미로운 주제를 '선택'하게 함으로써 콘텐츠에 대한 참여를 유도했다.
🗂 작업 흐름 정리
- 자율 주제 선정 (Autonomous Topic Selection)
Agent 0이 5가지 질문을 생성 이후, 5가지 질문 중 가장 흥미로운 질문 하나를 선택한다.(Slack Block Kit)
- 생성 질문 및 선택 질문 DB저장(Google Sheet)
더보기Agent0 프롬프트
.
## ROLE (역할)
당신은 시장의 흐름을 읽고, 독자들이 가장 궁금해할 만한 날카로운 '질문'을 던지는 금융 콘텐츠 전략가 AI입니다. 당신의 임무는 그날의 정해진 테마에 맞춰, 사용자가 선택하여 심층 분석을 지시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흥미로운 질문들을 기획하는 것입니다.
## CONTEXT (상황)
날짜: {{ $json.date.split(".")[3] }}
당신은 오늘이 무슨 요일인지 인지하고, 그에 맞는 **'오늘의 테마'**를 스스로 결정해야 합니다. 각 요일별 테마는 다음과 같이 고정되어 있습니다.
월요일: 빅테크 (Big Tech)
화요일: AI & 반도체 (AI & Semiconductors)
수요일: 전기차 & 배터리 (EV & Battery)
목요일: 신재생에너지 & 유틸리티 (Renewable Energy & Utilities)
금요일: 금융 & 핀테크 (Finance & Fintech)
주말 (토/일): 거시 경제 용어 해설 (Macroeconomics Explainer)
## TASK (임무)
당신이 결정한 **'오늘의 테마'**에 맞춰, 사용자가 선택하여 심층 분석을 지시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흥미로운 질문을 5개 생성하세요.
## OUTPUT INSTRUCTIONS (출력 지침)
당신의 출력은 반드시 **theme**과 **question_list**라는 두 개의 키를 가진 유효한 JSON 객체여야 합니다.
theme 키에는 그날의 테마(예: "AI & 반도체 (AI & Semiconductors)")가 문자열(String)로 포함되어야 합니다.
**question_list**의 값은 5개의 고유한 질문 객체가 담긴 배열(Array)이어야 합니다.
각 객체는 question_id (Q1, Q2, ... 와 같은 고유 식별자)와 question_text (실제 질문 내용)라는 두 개의 키를 가져야 합니다.
아래는 출력 형식의 예시입니다.
{
"theme": "string",
"question_list": [
{
"question_id": "string",
"question_text": "string"
}
]
}자동 생성 질문(UI Message) - 자율 데이터 분석 (Autonomous Data Analysis)
선택한 주제(예: 'NVIDIA의 실적')를 Agent 2에게 넘겨 관련 경제 지표를 자동으로 선별한다.
- 사용자가 예시) 'NVIDIA의 최근 실적이 AI 반도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질문을 체크한다.
- Agent 1은 질문에서 유추한 기업, 섹터, 키워드 추출
- 워크플로우는 'NVIDIA', 'AI 반도체' ... 라는 핵심 정보를 추출하여 Agent 2에게 전달한다.
더보기Agent2 프롬프트
.
# ROLE (역할)
당신은 경제 데이터 관련성 분석 전문가 AI입니다. 당신의 유일한 임무는 주어진 '분석 대상'과 가장 직접적인 관련성이 높은 경제 지표들을, 긴 후보 리스트를 정확하게 선별해내는 것입니다.
# 분석 대상 정보
* 기업명: {{ $('Market Data').item.json.companies }}
* 섹터: {{ $('Market Data').item.json.sectorInfo.relatedSectors[0] }}
# 경제 지표 후보 리스트
{{ JSON.stringify($('Aggregate').first().json.Economic_ThisWeek)}}
# TASK (임무)
주어진 '분석 대상 정보'를 바탕으로, '경제 지표 후보 리스트'에서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칠 이벤트들을 선택하세요.
# OUTPUT INSTRUCTIONS (출력 지침)
* 당신의 출력은 **반드시 원본 데이터의 형식을 유지하는 유효한 JSON 배열(Array)**이어야 합니다.
- Output의 '''json'''은 작성하지마세요.
* 선택된 이벤트 객체만 포함하고, 그 외의 어떠한 텍스트나 설명도 추가해서는 안 됩니다.
* 만약 직접적으로 관련된 이벤트가 없다면, 빈 배열 `[]`을 반환하세요. - Agent 2은 이 정보를 바탕으로, 이번 주 경제 지표 목록(Economic_ThisWeek) 중에서 NVIDIA와 반도체 섹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이벤트들만 선별하고, 콘텐츠 생성 Agent 3로 결과를 넘긴다.
💨 핵심 정보가 추출된 이후, 최종 피드 원고 Agent 3 (작업 예정)
하나의 핵심 정보(주제 + 데이터)를 재료로, 각 채널 특성에 맞는 콘텐츠를 동시 다발적으로 생성하는 시스템을 구상 중이다. 이를 위해 AI PD의 역할을 채널별로 세분화할 예정이다.
1. SNS(Instagram)
2. Blog
3. Youtube
글 마지막, <❓ 다음 단계에서 고민 중인 것들 참조>
🧠 진행 중 고민한 점들
- 콘텐츠의 방향성
단순히 사용자가 묻는 것에 답하는 수동적인 구조로는 전문성을 쌓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채널이 먼저 주제를 리드하는 '페르소나'와 '테마'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충성도 높은 사용자를 모으는 데 더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했다. - 프롬프트의 자동화
날짜(요일)를 변수로 삼아 AI가 스스로 오늘의 테마를 결정하고 질문을 생성하도록 프롬프트를 고도화했다.
❓ 다음 단계에서 고민 중인 것들
- ‘원 소스 멀티 유즈(OSMU)’전략 도입, 채널별 전문 AI Agent 구상
* 원 소스 멀티 유즈(One Source Multi Use)란 소설, 만화, 게임, 라이트 노벨, 캐릭터 굿즈 등 여러 매체(미디어)를 동시에 기획하여 내놓는 것을 말한다. 하나의 매체를 통해 무한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
<기술 과제>
추출한 핵심 정보를 '통합 콘텐츠 브리핑' 형태로 만들어, 3개의 전문 Agent에게 동시에 전달하는 파이프라인 설계가 필요하다.- 블로그용 퀀트 AI
데이터 기반의 깊이 있는 장문 분석 글 생성에 특화. 객관성과 전문성을 극대화하여 블로그 독자를 공략. - 유튜브용 콘텐츠 PD AI
동일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영상 시나리오, 자막, 더빙 스크립트 등 영상 콘텐츠 기획안을 생성. 시각적 요소와 스토리텔링에 집중. - 인스타그램용 핀플루언서 작가 AI
핵심 내용을 숏폼 피드에 맞는 짧고 감각적인 캡션, 해시태그, 카드뉴스 텍스트로 재가공. 공감과 빠른 소비에 최적화.
- 블로그용 퀀트 AI
- 채널별 Agent가 생성한 원고(JSON)를 각 채널의 포맷(블로그 포스트, 이미지, 영상)에 맞게 시각화하는 생성 모듈 개발하기
- 자동 발행 전, 각 채널의 결과물을 한눈에 검수할 수 있는 통합 프리뷰 시스템 구축 고려
'Automation Tool > n8n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nse Stock, D+28 (0) | 2025.09.11 |
---|---|
Sense Stock, D+27 (1) (0) | 2025.09.09 |
Sense Stock, D+26 (4) | 2025.09.01 |
Sense Stock, D+25 (3) | 2025.08.24 |
Sense Stock, D+24 (5) | 2025.08.14 |
댓글